안녕하세요 교육부 인가 평생교육원 소속 전문 학습 멘토 손경락 팀장입니다 :)

 

오늘은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보고 싶지만 조건이 안되는 분들께 수월하게 조건을 갖추는 방법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조건부터 확인을 해봐야겠죠?

전기산업기사는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응시자격을 갖추야 하는데요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으로는 관련 전공을 졸업하거나 관련 실무경력을 쌓는다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데요

 

앞서 말한 조건들을 이미 갖춘 분들이라면 이미 시험을 보았게지만 응시자격이 안되는 분들은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보기위해서 대학을 나오거나 경력을 쌓는 것으로 준비한다면 최소 2년이라는 기간이 걸리는데요!

 

2년이라는 기간동안 준비할 수 있지만 더 빠르게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만큼 시험을 더 빠르게 응시할 수 있고 자격증도 그만큼 빠르게 나오게 됩니다

 

그 방법은 어떤 방법일까요?

 

바로 학점은행제 41학점 이수인데요

 

학점은행제에서 41학점 이수하는 것이 왜 빠르고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일까요?

그전에 학점은행제라는 제도로 응시자격을 갖춰도 문제가 없는지부터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학점은행제에서 41학점을 이수한다면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기사 시험에도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됩니다

이러한 학점은행제는 고졸 이상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기에 고졸 이상이라면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출 수 있는데요

 

학점은행제는 수업 뿐만 아니라 행정절차까지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면서 자격증이 필요한 직장인분들도 전기산업기사 시험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전기산업기사 시험 응시조건을 갖추어도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알게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41학점을 이수하는데 얼마나 걸리며 어떤 방법들로 이수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학점은행제에서 41학점을 이수하는데 있어서 온라인 수업을 비롯하여 독학학위제, 학점인정자격증, 전적대를 통해서도 이수할 수 있기에 빠르면 15주만에 전기산업기사 시험 응시조건을 갖출 수 있는데요!

 

온라인 수업은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수업으로 휴대전화, 컴퓨터 등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모든 과정이 온라인이기에 내가 원하는 장소, 시간에 원하는 만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독학학위제는 대학판 검정고시로 불리우고 있는 제도로 시험을 보아서 합격을 하게 되면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학점인정자격증은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면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제도로 모든 자격증이 학점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기에 학점으로 인정되는 자격증을 확인하고 취득을 해야 합니다

 

전적대는 전에 다닌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을 가지고 오는 방법으로 대학을 다니지 않는 상황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을 활용한다면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볼 수 있는 다른 조건들 보다 빠르게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출 수 있는데요!

 

진행할 때에 주의해야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바로 최종학력과 행정절차인데요

 

최종학력에 따라 41학점을 이수하지 않아도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최종학력에 따라서 진행하는 과정이 달라지는데요!

 

그러니 진행하기 전에 자신에게 맞는 과정에 대해서 한 번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마지막으로 행정절차인데요

 

학점들을 다 이수했지만 행정절차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내가 학점을 이수했는지 확인이 되지 않기에 행정절차도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

 

지금까지 전기산업기사 시험 응시자격을 빠르게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인 학점은행제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았는데요

 

관련으로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