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자격증3급 2급 차이는?
안녕하세요 교육부 인가 평생교육원 소속 전문 학습 멘토 손경락 팀장입니다 :)
한국어교원자격증은 1,2,3급으로 나누어지고 있고 1급의 경우에는 2급을 취득하고 경력을 쌓아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기에 1급을 제외하고 많은 분들께서 3급 혹은 2급 두 자격증 중 하나를 목표로 준비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분들이 준비하고 있는 3급과 2급을 비교해보고 어떤 과정으로 취득하게 되는지 같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어교원자격증3급 2급 차이에는 가장 큰건 시험의 유무입니다
한국어교원자격증3급의 경우에는 양성과정을 거친 후에 1년에 1번 열리는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을 하게 되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인데요!
양성과정은 고졸 이상이라면 누구나 준비할 수 있고 공부를 한 다음에 시험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시험이 1년에 한 번 열린다는 점이 복잡하고 부담스러운 부분인데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3급이 이렇게 까다로운데.. 2급은 얼마나 까다로울까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2급은 3급과는 다르게 국가고시를 보지 않고 조건만 갖춘다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 조건은 바로 4년제 학위(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사학위)와 관련 16과목 이수 이 두 가지 조건입니다
두 자격증이 서로 장단점이 다르기에 많은 분들이 취득하는데 있어서 어떤 과정으로 진행해야 할지 많이 고민하고 있는데요
미래와 취득하는 과정을 생각한다면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것 보다 관련 학위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어교원자격증2급을 취득하는 것이 더 낫기에 많은 분들이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을 취득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은 2가지 조건만 갖추면 별도의 시험없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조건은 바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사학위와 관련 16과목 이수입니다!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을 준비하려는 분들 중에서 대부분이 비전공자이실텐데요
비전공자분들 중에서 4년제 대학을 나온 분들의 경우에는 학점은행제에서 관련 16과목을 이수하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사학위를 학점은행제 타전공으로 취득할 수 있기에 전공이 되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학위가 안되는 전문대졸, 고졸분들은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관련 16과목을 이수하면서 학위도 준비할 수 있기에 고졸 이상이라면 누구나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은 취득하는데 있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사학위와 필수 16과목을 이수하면 되는데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과정과 필수 16과목 중 실습 1과목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됩니다
진행과정에서 실습 1과목을 제외하면 나머지 과정들은 모두 온라인이기에 해외에 거주하면서도 대부분의 과정을 준비할 수 있는데요
온라인 수업은 많이 알고 있는 인터넷강의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수업을 들어야 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기에 내가 듣고 싶을 때 들을 수 있고 휴대전화, 컴퓨터로 수강할 수 있기에
수업을 듣는데 있어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내가 어디에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출석으로 인정 받는 기간이 2주 주어지기에 출석에 대한 부담 없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습은 국내 대학에서 참관 수업 등을 진행하기에 국내에서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지만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분들은 준비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실습은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과정이긴 하지만 추후에 진행해도 전혀 무방하기에 해외에 거주하고 계신 분들의 경우에도 실습을 나중에 진행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원2급자격증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았는데요
자격증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필요하다면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